미술이론 알아보기 |
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이준한 | 등록일 | 16.07.13 | 조회수 | 783 |
첨부파일 | |||||
![]() 15세기 르네상스시대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입니다 투시도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예수님 머리뒤편이 소실점 ![]() 먼곳이 희미하게 보이는 공기원근법이 사용된 수채화입니다 ![]() 작품제작을 위한 스케치 입니다 ![]() 정밀묘사 ![]() 서양식으로 정물화를 동양화에서는 기명절지화라고 합니다 기명은 항아리 절지는 나뭇가지라는 말입니다~ ![]() 정물소묘입니다 정물이란 움직이지 않는 정적인 물체라는 의미입니다 ![]() 유화로 그린 정물화입니다 유화의 특징인 깊이있는 색감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![]() 정물화의 구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1,2번처럼 하면 안됩니다 3번은 그림상에 거리감이 나타나 있기에 좋은 구도라고 할수있습니다 ![]() 조선중기 윤두서의 자화상입니다 조선시대 선비의 정신세계를 엿볼수 있는 작품입니다 ![]() 전통영정기법으로 그린 초상화입니다 ![]() 소묘로 제작한 인물전신상입니다 부위에 따라 두상, 흉상, 반신상,전신상, 토르소 자세에 따라 입상,좌상,와상등으로 구분합니다. ![]() 인물의 특징을 살리고 재미있게 표현한 캐리커쳐 ![]() 여러사람을 표현한것을 군상이라고 합니다 ![]() 풍경화의 여러가지 구도입니다 ![]() 풍경화를 그릴때 사용하는 1점, 2점, 3점 투시도법입니다 ![]() 동양화의 원근법입니다 밑에서 올려다보는 고원법 평핸한 시선에서 보는 평원법 내려다보는 심원법이 있습니다. ![]() 몽유도원도입니다 세종의 아들 안평대군의 꿈을 안견이라는 화가가 그려낸 것으로 그림풍은 고려시대 채색화지만 조선초기에 그려진 작품입니다. ![]() 단원 김홍도의 산수화입니다 동양화의 대부분이 산수화입니다 이는 동양인의 자연을 중시하는 정신세계와 관련됩니다. ![]() 이밖에도 여러종류가 있는데 화조화 ![]() 초충도 신사입당의 작품으로 수박과 들쥐를 묘사 ![]() 물고기를 표현한 어해도 ![]() 정물화를 의미하는 기명절지화 ![]() 동물의 털을 묘사한 영모화 ![]() 묘작도 ![]() 호랑이 그림 ![]() 조선시대 선비들의 교양필수였던 사군자 ![]() 김홍도의 풍속화 입니다 ![]() 정선의 금강전도입니다 실경산수를 묘사하였습니다. 동양화의 3가지 원근법을 사용
|
이전글 | 그라데이션 연습 |
---|---|
다음글 | 소묘란? |